NEWS

NEWS

  • Read Level:1
  • Write Level:10
  • Upload Size:1Mb

중국 가정용 전자혈압계 시장 동향

페이지 정보

본문

중국 가정용 전자혈압계 시장 동향
2020-08-27 김학빈 중국 광저우무역관


- 식생활 서구화로 고혈압 등 각종 혈관질환 증가 -

- 가정용 혈압계의 수요가 증가하여 시장여지 커 -

 

□ 상품 개요

 

ㅇ 상품명: 혈압측정기기

ㅇ HS Code: 9018.19(광학·측정·의료기기)


□ 시장 동향

 

ㅇ 중국 고혈압 성인 환자수 현황

-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의 2019년 8월 발표한 <중국 고혈압 방지 현황 청서>(中国高血压防治现状蓝皮书)에 따르면, 2012년 중국의 18세 이상 성인 인구의 고혈압 발병률은 25.2%로 집계

- 2019년 중국 고혈압 성인(18세 이상) 환자수는 약 3억58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보임.

 

2012년, 2015년, 2019년 중국 성인인구 중 고혈압 환자수

(단위: 만 명)

0dc5da64f24148b466e94def4ddd509f_1598576760_2623.PNG 

주 : 2019년 수치는 예상치

자료: 쳰잔산업연구원(前瞻产业研究院)

 

ㅇ 고혈압 질환의 빠른 증가율 대비 그에 미치지 못하는 중국의 고혈압 발견율
- 지엔연구소(智研咨询)가 발표한 <2020~2026년 중국 가정용 혈압계 산업 시장 공수 규모 및 투자 전망 예측 보고서>(2020-2026年中国家用血压计行业市场供需规模及投资前景预测报告)에 따르면, 중국의 고혈압 발견율 및 치료율은 각각 46.9%, 40.7%임.

- 과거에 비하면 상승했지만, 고혈압 치료 관련 가장 앞서있는 미국의 발견율(82%), 치료율(76%)에 비하면 여전히 큰 격차가 존재

 

중국과 미국의 고혈압 환자 발견률, 치료율 비교

0dc5da64f24148b466e94def4ddd509f_1598576809_0811.PNG
 

자료: 지엔연구소(智研咨询)



ㅇ 고령화 사회에서 가정용 의료 기계의 시장 점유율 증가

- 중국 경제 및 생활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면서, 육류섭취량이 증가하였고 식습관이 서구화됨. 더불어 고령화사회로 진입하면서 특히 고혈압 등 혈관질환의 발병률이 갈 수록 증가하고 있는 상황임.

- 또한 중국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의료용 기계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 중임. 쳰잔산업연구원(前瞻产业研究院)가 발표한 <중국 의료 기계 산업 경쟁 구도 및 선도 기업 분석 보고서>(《中国医疗器械行业竞争格局与领先企业分析报告》)에 따르면, 2013년 중국 의료기기산업 규모는 2120억 위안이었고, 2015년에는 3000억 위안을 돌파하였으며, 2017년에는 4450억 위안으로 2013년 대비 4년만에 2배 이상 성장함. 2018년 산업규모는 5250억 위안에 달하였음.

- 고혈압으로 관상동맥경화성 심장병(冠心病), 뇌졸중(脑梗死), 심근경색(心肌梗死)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, 자택에서 언제든 자신의 혈압을 정기적으로 측정할 필요성이 존재함.

- 전통적인 수은 혈압계는 일상생활에서 환자들이 사용하기 불편하고 측정 데이터를 쉽게 기록할 수 없기 때문에 전자혈압측정기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음.

 

2013~2018년 중국 의료기기산업 규모 및 성장률

(단위: 억 위안, %)

0dc5da64f24148b466e94def4ddd509f_1598576868_4254.PNG 

자료: 쳰잔산업연구원(前瞻产业研究院)

□ 수입 동향

 

ㅇ 전체 수입액은 지속적으로 증가, 주요 수입국은 일본

-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중국의 혈압기기 수입액은 지속적으로 증가

- 중국 해관의 발표에 따르면 2019년 중국 혈압기기 총 수입량은 1047만 개, 총 수입액은 6527만8000달러에 달함.

 

2017~2019년 중국의 혈압기기 수입현황

(단위: 만 개, 만 달러)

 0dc5da64f24148b466e94def4ddd509f_1598576916_1576.PNG 

자료: 중국 해관총서(中国海关总署), 쳰잔산업연구원(前瞻产业研究院)

 

- 수입량 관련, 국가별로 보면 일본에서 총 268.6만 개를 수입하며 1위를 차지, 그 다음은 싱가포르로 총 208.1만 개를 수입

- 수입액은 국가별로 보았을 때 역시 일본이 1위를 차지하였으며, 대일수입액은 총 3714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50% 이상을 차지

 

ㅇ 대한 수입 현황

 

중국의 대한수입 추이

(단위: 천 달러, %)

 0dc5da64f24148b466e94def4ddd509f_1598577097_4928.PNG 

자료: KITA

 

□ 경쟁 동향

 

ㅇ 중국제품과 일본 제품이 상위권 차지

- 티몰(Tmall) 등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전자혈압기기의 가격은 80~1000위안으로 비교적 범위가 넓음.

- 일본 브랜드인 OMRON은 고급 제품으로 유명하며, 중국 로컬 브랜드인 YUWELL(鱼跃)은 가성비가 매우 좋다는 평임.

 


 

- 중국의 전자혈압기기 시장을 보면, 외국 브랜드, 특히 일본 브랜드(OMRON, PANASONIC)의 시장점유율이 높으며 전체의 50%를 차지

- 중국 현지 브랜드인 Yuwell 등은 시장점유율이 35%에 달하며, 최근 떠오르는 브랜드인 Andon 등 기타 로컬 브랜드도 현재 15%를 차지

 

중국의 전자혈압기기 시장점유율 현황

 0dc5da64f24148b466e94def4ddd509f_1598577137_8002.PNG 

자료: 중국의료기기 산업협회(中国医疗器械行业协会)

 

 

ㅇ 전자혈압기기 보급률은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예상

- 미국, 일본 등 선진국의 경우 전자혈압기기 보급률은 50~60%를 기록하고 있으나, 중국은 고작 1.20%에 그치고 있음.
- 중국의학회(中华医学会), 심혈관 협회(心血管病协会),국가심혈관병센터(国家心血管病中心) 등은 전국민 전자혈압기기 보급을 통해 심혈관 질환 조기발견률을 끌어올리려고 하며, 건강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서 향후 전자혈압기기의 보급률은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.

 

국가별 가정용 전자혈압기기 보급률

0dc5da64f24148b466e94def4ddd509f_1598577195_6299.PNG 

자료: 위생부질병통제센터(卫生部疾病控制中心)

 

□ 수입관세율 및 인증요건

 

ㅇ 수입관세율

 0dc5da64f24148b466e94def4ddd509f_1598577285_1028.PNG 

자료: KITA

 

ㅇ 인증 요건

- 중국 의료기기 감독관리 법규에 따르면, 의료기기는 총 3가지 등급(1, 2, 3등급)으로 분류

- 이 상품은 해외(수입) 부분 2급 의료기기에 속함.

- 중국에서 해당 제품을 판매하려면 NMPA에서 의료기기 등록증(医疗器械注册证)을 취득해야 함. 의료기기 등록증 신청 시 해당 의료기기의 유통허가 증명서를 제출해야 되고, 중국에 설립한 대표기구 혹은 지정 법인을 대리인으로 안전성과 효과를 검증해야 함.

- 중국 의료기기 인허가 절차: 사전준비, 제품분류확정 → 중국대리인 지정 → 등록서류 작성 → 제품 시험 → 임상자료 작성(혹 임상 시험) → NMPA 등록자료 제출 → NMPA 기술문서 심사, 보완 통보 → 의료기기 등록증 취득



중국의료기기 등급별 세부 내용

0dc5da64f24148b466e94def4ddd509f_1598577358_9561.PNG
 

자료: 중국 의료기기 감독관리 법규

□ 시사점

 

ㅇ 혈압측정 정확도 및 사용 편리성이 중요

- 전자혈압기기의 경우 전문 의료기관에 있는 측정기계와 비슷한 수준의 정확도가 있어야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음.

- 또한 사용자 입장을 고려해 자택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이 중요

 

ㅇ 향후에도 전자혈압기기 시장은 지속 성장 예상, 의료기기 인증 등의 절차 숙지 필요

- 육류 소비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, 이에 따라 고혈압 등 혈관질환 또한 환자수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임. 시장규모가 성장하는 만큼 향후에도 전자혈압기기 시장은 유망하다고 할 수 있음.

- 가정용 의료기기의 경우 인증을 획득하는 절차가 매우 엄격함. 우리 기업은 중국 시장 진출 전 중국에서 인증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어떤 점들이 있는지 숙지할 필요가 있음.

 

 

자료: 중국 해관총서(中国海关总署), 지엔연구소(智研咨询), 쳰잔산업연구원(前瞻产业研究院), KITA, 위생부질병통제센터 (卫生部疾病控制中心),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

< 저작권자 ⓒ KOTRA & KOTRA 해외시장뉴스 >
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